본문 바로가기

ESG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평가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DJSI World
(리더)
World
(리더)
World World World
  • DJSI Industry Leader : 11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20년, 21년 (총 누적 9회)
  • DJSI World :15년 연속
  • DJSI Asia-Pacific : 15년 연속
  • DJSI Korea : 16년 연속

현대건설은 S&P다우존스인덱스(S&P Dow Jones Indices)가 주관하는 다우존스지속가능경영지수(DJSI) 평가에서 11년, 13년, 14년, 15년, 16년, 17년, 18년, 20년, 21년 건설산업 월드 리더로 선정되었습니다. 2009년 DJSI Korea, 2010년 DJSI World, DJSI Asia-Pacific 편입 이후 15년 연속 유지하고 있어 지속적인 제도개선과 지속가능경영 활동의 성과를 인정 받았습니다.

한국ESG기준원(KCGS) 평가

총 7개 (S / A+ / A / B+ / B / C / D) 평가등급 체계이며,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이 환경, 사회, 지배구조 모범규준에서 제시한 체계를 적절히 갖추고 있음 (우수한 지속가능경영 체제 구축으로 주주가치 훼손 여지가 적음)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종합등급 A A A A A
환경 A+ A A A A
사회 A A A A+ A
지배구조 A A B+ A B+

해외 기업지배구조(ISS) 평가

점수가 낮을수록 높은 수준의 환경·사회·거버넌스 체계와 낮은 리스크를 지녔다고 평가하며, 이를 고려하여 등급 산출
구분 2025년 (상반기 기준)
종합 평가 등급 C+
환경 1
사회 1
지배구조 3

서스테이널리틱스 ESG 평가

  • 리스크 평가 25.8 (Medium Risk)
  • 동일 산업 내 글로벌 19위 (전체 336개 기업)

리스크 등급 구분 : Negligible 0-10 / Low 10-20 / Medium 20-30 / High 30-40 / Severe 40+

2025년 4월 기준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평가

CDP 평가는 환경부문 가장 공신력 있는 글로벌 지속가능성 지수로 매년 글로벌 주요 상장 기업의 기후변화대응 활동을 평가·분석·보고하고 있습니다.

CDP Korea 7년 연속 명예의 전당, 4년 연속 플래티넘 클럽 등극
구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CDP 등급 A A- A- A A

유엔글로벌콤팩트(UNGC) 가입

유엔글로벌콤팩트(UNGC)는 지난 2000년 코피 아난 전 UN 사무총장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지지와 이행을 촉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국제협약입니다. 현대건설은 2010년 4월 국내 업계 최초로 UNGC에 공식 가입하여 명실공히 글로벌 사회적 책임기업으로 거듭나게 되었습니다. 또한 현대건설은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사회적 기업으로서의 책임을 다하고 있습니다.

인권
원칙1 : 기업은 국제적으로 선언된 인권 보호를 지지하고 존중한다
원칙2 : 기업은 인권 침해에 연루되지 않도록 적극 조력한다
노동
원칙3 : 기업은 결사의 자유와 단체교섭권의 실질적인 인정을 지지한다
원칙4 : 기업은 모든 형태의 강제노동을 배제한다
원칙5 : 기업은 아동노동을 효율적으로 철폐한다
원칙6 : 기업은 고용 및 업무에서 차별을 철폐한다
환경
원칙7 : 기업은 환경문제에 대한 예방적 접근을 지지한다
원칙8 : 기업은 환경적 책임을 증진하는 조치를 수행한다
원칙9 : 기업은 환경친화적 기술의 개발과 확산을 촉진한다
반부패
원칙10 : 기업은 부당 취득 및 뇌물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부패에 반대한다

기후변화 재무정보공개 협의체(TCFD) 지지 선언

TCFD는 2017년 금융안정위원회(FSB)에서 기업의 기후변화 관련 재무정보공개를 위해 제시한 공시 프레임 워크이며, ISSB 등 다양한 공시 표준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현대건설은 2022년 8월 TCFD에 대한 지지를 선언하고 TCFD 공시 표준에 맞춰 기후변화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거버넌스
ㆍ 이사회의 감독 활동
ㆍ 경영진의 평가 및 관리 활동
전략
ㆍ 기후 위험 및 기회 정의
ㆍ 기후변화의 사업·전략·재무적 영향
ㆍ 기후 시나리오별 조직 전략의 탄력성
리스크 관리
ㆍ 기후 리스크 식별 및 평가 프로세스
ㆍ 기후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ㆍ 전사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 통합 방식
반부패
ㆍ 기후 리스크 평가 시 사용되는 지표
ㆍ 온실가스 배출량 및 관련 위험 관리
ㆍ 온실가스 감축 목표 등 성과 관리 항목

과학 기반 감축 목표 이니셔티브(SBTi)

SBTi는 파리협정 목표에 부합하는 과학 기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기업의 감축 목표를 검증하는 자발적인 이니셔티브입니다. 현대건설은 2022년 12월 SBTi 지지를 선언했으며, 2023년 3분기 국내 상장 건설사 최초로 탄소감축 목표에 대한 승인을 획득하여 탄소중립 로드맵의 공신력을 확보하고 신뢰성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SBTi)

2022 World Benchmarking Alliance – Nature Benchmark 평가

  • 국내 기업 전체 1위, 건설 부문 세계 3위

2023 World Benchmarking Alliance – Building Benchmark 평가

  • 건설 부문 세계 3위, 전체 14위 (대상 업종: 건설, 부동산 개발, 자산 관리)

2024 World Benchmarking Alliance – Urban Benchmark

  • 세계 9위

2025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기존 발간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회사소개 메뉴의 자료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탈(脫)석탄 선언 요약
- 신규 석탄 사업 전면 배제
- 신재생 친환경 사업 포트폴리오 확대
- 친환경 투자 및 사회 환원
- 환경경영 추진 확대
탈석탄 선언 후
기후변화 대응 이행 과정
  • 2021년 1월 탈석탄 선언 (이사회 의결)
  • 2021년 7월 탈석탄 선언문 대외 공개 (지속가능보고서, 홈페이지)
  • 2022년 10월 2045탄소중립 로드맵 선언 (이사회 의결)
    탄소중립보고서 발간
  • 2022년 12월 SBTi 가입신청
    신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 전환
  • 2023년 3분기 SBTi 가입 승인

포트폴리오 전환 및 확대

ㆍ신재생에너지 조직 개편, 뉴에너지 사업부 신설
ㆍ해상풍력, 바이오 가스 친환경 프로젝트 수행
ㆍ전력중개거래 (PPA) 사업 추진

친환경 투자

ㆍ온실가스 저감 사회공헌 활동 추진 (H-그린세이빙)
ㆍ친환경 R&D 투자 확대
ㆍESG 채권 투자 기준 수립

친환경 경영 강화

ㆍCDP 명예의 전당 7년 연속 등극
ㆍTCFD 얼라이언스 가입
ㆍTCFD 정보공개 강화
ㆍ환경경영 정책 제정

지속가능경영 주요 정책

  • 환경경영 정책
    현대건설은 환경 친화적 경영을 통해 환경 성과를 지속적으로 개선함과 동시에 사업활동 및 가치사슬 전반의 부정적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본 환경 정책을 제정합니다.
  • 생물다양성 보호 정책
    현대건설은 사업을 영위하는 모든 국가/지역에서 책임있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현하고자 생물다양성 정책을 제정하고, 이를 통하여 사업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환경영향을 사전에 예방하고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기업활동을 실천하고자 합니다.
  • 산림파괴 예방 정책
    현대건설은 사업을 영위하는 모든 국가/지역에서 책임있고,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현하고자 산림파괴 예방 정책을 제정하고, 이를 통하여 사업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인 환경영향을 사전에 예방하고 이해관계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한 기업활동을 실천하고자 합니다.
  • 다양성 포용 (D&I) 정책
    현대건설은 다양한 인재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사고를 겸비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조성하며, 포용적인 사회로 전환에 기여하고자 다양성포용(D&I) 정책을 제정합니다.
  • 공급망 ESG 관리 정책
    현대건설은 당사와 계약관계에 있는 모든 협력회사와 상생협력 및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공급망 ESG 관리 정책을 제정합니다.
  • 지역사회 정책
    현대건설은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확산하여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 지역사회 정책을 제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