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의 시간을 바꾼 현대건설의 도시철도

2024.10.18 0min 6sec

도시의 시간을 바꾼 현대건설의 도시철도 교통 인프라 저변을 넓히다 #수도권도시철도 #별내선 #대곡소사선 #소사원시선 #광역철도 #GTX HYUNDAI



도시의 시간을 바꾸다, 현대건설의 도시철도 50*21 개 프로젝트 1974년 8월 15일 개통한 서울 지하철 1호선은 서울역에서 청량리역까지 10.3km 구간 10개 역을 18분 만에 달렸습니다.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시간 단축이었지요. 50년이 지난 지금 수많은 시민의 발이 되어주는 수도권 도시철도. 그 역사 속에 현대건설은 서울 지하철 1호선 7공구를 시작으로 총 21개의 수도권 도시철도에 참여해 왔습니다. 지금부터 도시의 시간을 바꿔온 현대건설 도시철도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철도 교통은 속도와 거리에 따라 고속철도와 일반철도, 도시철도와 광역철도로 구분됩니다. 고속철도 200km/h 이상 KTX, SRT 철도 교통 분류 시스템 일반철도 200km/h 미만 국유노선 도시철도 1개 도시 교통수단 전철, 모노레일 등 VS VS 광역철도 2개 이상 도시 연결 수도권 전철, GTX

현대건설이 일궈온 수도권의 도시철도 수도권 도시철도 공사 총구간 48.0 km 수도권 도시철도 하루 이용객 508 만명 *출처: 통합데이터지도(금요일 기준) 서울지하철 1~9호선: 21.3km 인천도시철도 1, 2호선 : 2.8km 서해선(대곡~소사, 소사~원시) : 23.9km 유동 인구가 많고, 변전소도 포함되어 난구간으로 꼽힌 서울 지하철 1호선 7공구(종로3가- 종로4가)를 시작으로 현대건설은 50여 년간 수도권 도시철도 21개 프로젝트(총 48.0km) 시공을 담당하며 하루 이용객 약 508만 명의 발이 되어왔습니다.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를 열다 72 분 수도권 평균 출퇴근 시간 30 10000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 수도권 출퇴근 시간 평균 72분. 하지만 이제 출퇴근의 어려움이 조금씩 개선되고 있습니다. 수도권 도시철도가 점차 확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대건설이 최근에 개통한 별내선과 대곡-소사선, 소사-원시선을 통해 이동 시간이 얼마나 단축되었는지 살펴볼까요.

수도권 개통 도시철도 ① 별내선 별내에서 잠실까지 27분 만에 도착! 별내선 27 분 자동차 버스 عصر 45 55분 2024년 8월 10일 별내선 개통으로 경기도 남양주, 구리 시민들의 출퇴근 시간이 한결 빨라졌습니다. 그간 남양주 별내에서 서울로 출근하기 위해서는 자동차로 45분, 버스로는 55분이 걸렸는데요. 이제는 잠실까지 27분 만에 도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수도권 개통 도시철도 ① 별내선 공사기간: 2016.06~2024.08 1 시공성과 진동을 고려한 공법 적용 암사역 NATM 별내선 3공구 별내역 현대건설은 별내선 3공구를 담당했는데요. 시공성이 좋은 NATM* 공법과 함께 진동이 적은 미진동 암파쇄공법을 적용해 현장 여건을 반영한 공사를 할 수 있었습니다. *NATM: 주로 단단한 지반에 사용되며, 발파로 굴진하여 지하공간 주변에 링 모양의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는 공법

수도권 개통 도시철도 ② 대곡-소사선 세 번의 환승은 가라! 직통으로 한 번에 대곡→소사까지 직통 19분 대곡→김포공항까지 직통 9분 환승 3회 67분(개통 전) 환승 3회 40분(개통 전) 2023년 7월 1일 대곡-소사선 개통으로 고양, 부천 시민들이 3회 이상 환승해야 했던 불편함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특히 고양 대곡에서 부천 소사까지 67분에서 19분으로, 대곡에서 김포공항까지 40분에서 9분으로 시간이 대폭 단축되었습니다.

수도권 개통 도시철도 ② 대곡-소사선 공사 기간: 2016.06~2023.06 (1,2공구) 2016.06~2023.01 독보적 TBM 기술로 한강 하저 구간 관통 TBM 대곡역 소사역 대곡-소사선 1, 2공구 5공구 현대건설은 대곡-소사선 1, 2, 5공구를 담당했는데요. 1공구는 경의중앙선과 인근 KTX 차량기지 등 다양한 열차가 운행 중인 점을 고려하여, 단계별 시공과 비개착 공법으로 완공했습니다. 또한 난구간으로 꼽히는 한강 하저 구간을 관통하는 2공구는 토압식(EPB, Earth Pressure Balanced) 쉴드 TBM 공법으로 안전하게 시공했습니다. *토압식 쉴드 TBM : 원통 형태의 거대한 자동 굴착장비를 이용하여, 굴착된 토사를 넣어 지반의 압력을 견디는 공법

수도권 개통 도시철도 ③ 소사-원시선 교통 험지에서 요충지로! 소사-원시선 자동차 24 분 90 분 2018년 6월 16일 소사-원시선 개통으로 기존에는 자동차가 유일한 교통수단이었던 경기서부권이 교통 요충지로 탈바꿈했습니다. 경기도 부천에서 안산까지 자동차로 가면 90분이 걸렸는데, 소사-원시선을 타면 24분 만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

수도권 개통 도시철도 ③ 소사-원시선 공사 기간: 2011.04-2019.12 (1공구) 2011.04-2018.07 철저한 사전 계획으로 민원 최소화 DSM 소사역 원시역 소사-원시선 1, 2공구 현대건설은 소사-원시선 1, 2공구를 담당했는데요. 가장 어려운 공사는 바로 환승역인 소사정거장이었습니다. 운행 중인 열차를 고려해 주변 지반의 변형이 적은 DSM(Divided Shield Method)*공법을 적용하였으며, 운행선 하부 굴착 때마다 진동 등 변이성을 철저하게 계측하는 등 민원을 최소화하며 안전하게 시공하였습니다. * DSM: 비개착공법으로 지하통로 굴착 시 변형을 극소화하며, 동시에 안전성을 확보하는 공법

더 멀리, 더 빨리 현대건설의 수도권 광역철도 GTX-A GTX-C GTX-H GTX-G ⓒ 국토교통부 GTX-E GTX-D GTX-B GTX-F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수도권에서 서울로 이동할 때마다 오랜 시간 전철에 머물러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를 통해 이동 시간을 줄일 수 있을 전망입니다. 현대건설은 GTX-B, C노선 공사에 참여하며 수도권 광역철도 시대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기도 부천에서 서울 마포구까지 연결하는 대장-홍대 광역철도 민간투자사업(대장홍대선)에도 참여하여, 현재 착공을 앞두고 있습니다.

현대건설 레일 로드 주요 광역시 도시철도 공항철도 고속철도 1638 개 부산도시철도 1,2,3호선 대구도시철도 2,3호선 광주도시철도 1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경부고속철도 호남고속철도 포항-삼척고속철도 대한민국 철도의 내일을 그리는 현대건설은 수도권 도시철도 외에도 주요 광역시 도시철도 16개, 공항철도 3개, 고속철도 8개 프로젝트를 완공하며 현대건설 철도 시공 기술력을 입증해왔습니다.

교통 인프라의 저변을 넓혀가요!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의 도시를 잇는 현대건설 완공 싱가포르 MRT No.618 1992-1996 총 연장 8.6km 말레이시아 LRT 2 1994-1999 총 연장 3.147 km 싱가포르 MRT No.706 1997-2002 싱가포르 MRT No.931 2011-2016 총 연장 2.68km 총 연장 721m 공사중 ★ 베트남 하노이 메트로 3호선 필리핀 남북철도 1공구 파나마 메트로 3호선 2017-2027 총 연장 4km 2020-2027 2021-2025 필리핀 남북철도 4, 5, 6공구 2023-2028 총 연장 16.92km 총 연장 26.7km 총 연장 31.53km 현대건설의 도시철도는 대한민국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싱가포르(MRT), 말레이시아(LRT) 4개 프로젝트는 준공을 마쳤고, 베트남, 필리핀, 파나마에서는 현재 공사가 한창 진행 중입니다. 현대건설은 앞으로도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며, 교통 인프라의 저변을 더욱 넓혀 나갈 예정입니다.





▼ 블로그에서 보기 (아래 제목을 클릭하세요)  도시의 시간을 바꾼 현대건설의 도시철도